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다치 야스시

덤프버전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오사카 17구)
제45대
오타니 노부모리
제46대
아다치 야스시
제47·48대
하라다 겐지
제47·48대
하라다 겐지
제49대
아다치 야스시
현재

일본국 제46-49대 중의원 의원
아다치 야스시
足立康史 | Adachi Yasushi
파일:아다치야스시.jpg
출생1965년 10월 14일 (58세)
오사카부 이즈미오츠시
학력교토대학 공학부 (공학 / 학사)
교토대학 대학원 (공학 / 석사)
컬럼비아 대학교 (행정학 / 석사)
가족[1], 배우자
정당

의원 선수4 (중)
의원 대수46, 47[A], 48[A], 49
지역구오사카 9구
현직제49대 중의원 의원
약력통상산업성 관료
통상산업성 통상정책국 미주과 총괄계장
통상산업성 대신관방 기획과 기획주임보좌
자원에너지청 장관관방 석유대체에너지대책과 과장보좌 (신에너지담당)
중소기업청 장관관방 총무과 과장보좌 (법령담당)
통상산업성 산업정책국 기업행동과 과장보좌 (노동담당)
경제산업성 경제산업정책국 산업인재정책실 총괄과장보좌
경제산업성 상무정보정책국 서비스정책과 정책조정관보좌
경제산업성 대신관방 정책기획관 (제조산업국·참사관실담당)
경제산업성 대신관방 참사관 (상무정보정책국담당 겸 정보국제기획실장)
일본무역진흥기구 브뤼셀센터 차장
중의원 의원 (제46-49대)
일본유신회 국회의원단 간사장 대리
일본유신회 국회의원단 헌법조사회 사무국장
일본유신회 국회의원단 정무조사회장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2. 생애[편집]


1965년 10월 14일, 일본 오사카부 이즈미오츠시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출생 후 이바라키시에서 나고자랐다. 이바라키 시립 나카츠 초등학교와 이바라키 시립 히가시 중학교, 오사카 부립 이바라키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수구부에서 활동했다. 고교 시절 인터하이까지 진출했을 정도.

1988년, 교토대학 공학부를 졸업하고 1990년 교토대학 대학원 공학연구과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같은 해 통상산업성에 입성해 공무원이 되었다.[2] 그리고 1998년 미국으로 유학을 가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공공정책대학원(SIPA)[3] 행정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대신관방 참사관(상무정보정책국담당), 일본무역진흥기구 브뤼셀센터 차장 등을 역임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자 경산성에서 나왔다.

퇴성 이후 모두의 당에 입당해 오사카 7구 지부장이 되며 정계 입문을 준비했으나, 같은 해 9월 모두의 당을 탈당해 일본유신회 결성에 참여했다.

12월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유신회 소속으로 오사카 9구에 출마해 첫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2014년 유신당 결성에 참여하고 제47회 중원선에서 낙선하여 비례블록으로 부활했다. 다음 제48회 중원선에서도 낙선한 뒤 비례블록으로 부활했다.

2018년 중의원에서 가케 학원 문제와 관련된 발언을 한 것이 문제가 되어 당 내의 직책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다음 해 국회의원단 간사장 대리로 당 직책에 복귀했다.

2021년 제49회 중원선에선 지역구로 당선되어 복귀에 성공했다. 2022년, 마쓰이 이치로의 당대표직 사임에 따른 2022년 일본 유신회 대표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선거 결과 득표수 1,158표 득표율 10.7%로 2위로 낙선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2011 - 2012정계 입문

무소속

2012일본유신회 창당을 위한 탈당


2012 - 2014창당


2014 - 2015합당[4]

무소속

2015당내 노선 갈등으로 인한 탈당


2015 - 현재창당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2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오사카 9구

104,015 (39.83%)당선 (1위)초선
2014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1,400 (39.48%)낙선 (2위)
당선 (석패율제 당선)재선
2017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1,438 (39.84%)낙선 (2위)
당선 (석패율제 당선)3선
202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33,146 (50.35%)당선 (1위)4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일본유신회
제49대 중의원 의원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무라 류나나카쓰카 히로시다카하시 히데아키모리야마 다다시미노베 데루오
미사키 마키미키 게바바 노부유키사와다 료소라모토 세이키
스기모토 가즈미스미요시 히로키아다치 야스시아베 쓰카사아베 히로키
아사카와 요시하루아오야기 히토시아와타니 료헤이아카기 마사유키야마모토 고세이
에카와 기요시게엔도 다카시엔도 료타오노 다이스케오쿠시타 다케미쓰
와타 유이치로요시다 도모요우라노 야스토우루마 조지이노우에 히데타카
이치무라 고이치로이치타니 유이치로이케시타 다쿠이케하타 고타로이토 노부히사
하야사카 아쓰시하야시 유미호리바 사치코호리이 겐지후지마키 겐타
후지타 후미타케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일본유신회
제48대 중의원 의원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구시다 세이치모리 나쓰에미노베 데루오바바 노부유키스기모토 가즈미
아다치 야스시엔도 다카시우라노 야스토이노우에 히데타카후지타 후미타케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4:42:07에 나무위키 아다치 야스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란성 쌍둥이이다.[A] A B 석패율제 비례당선[2] 국가공무원채용1종시험에 대학원 졸업자를 위한 전형도 있다. 그러나 역시 관계의 주류는 문과계 학부, 즉 도쿄대학 법학부 졸업 직후 입성한 인원들이다.[3] 고이즈미 신지로나카소네 야스타카, 츠지 키요토 등이 동문.[4] 결속당과의 신설합당

관련 문서